삼성, 바이오사업 10년…그 영광과 시련 [양재준 기자의 알투바이오]

양재준 선임기자

입력 2019-04-19 16:17   수정 2019-04-19 17:54

삼성그룹이 바이오사업에 진출한 지 만 10년째 되는 해입니다.
2009년 지식경제부(현 산업통상자원부) 공모사업에 선정된 후 세계 1위의 생산량을 갖춘 기업으로 올라섰습니다.
하지만, 바이오사업에 대한 기대감과 관심을 높이는데 성공했지만, 정치적 논란과 검찰 수사, 적자 사업 구조는 오히려 발목을 잡아 왔습니다.
삼성그룹의 바이오사업 진출 10년을 되돌아 보고, 앞으로 삼성바이오가 나아갈 방향이 무엇인지 알투바이오에서 시리즈 기획으로 집중 파헤치도록 하겠습니다.

▲ 바이오사업 기대감과 관심 높인 진출
2009년 5월 삼성그룹은 지식경제부(현 산업통상자원부) 스마트플랜 공모로 바이오사업 진출합니다.
당시 삼성그룹은 제넥신, 이수앱지스와 함께 컨소시엄을 구성했습니다.
제넥신은 바이오베터(바이오개량신약) 신약후보물질을 보유한 기업이었고, 이수앱지스는 항체신약과 희귀질환치료제인 고셔병치료제 등을 개발하는 이수그룹 자회사였습니다.
이 두 회사는 바이오의약품 제품 개발을 담당했습니다.
당시 이수앱지스 대표였던 최창훈 사장은 현재 삼성바이오에피스 개발본부장을 맡고 있습니다.
삼성그룹은 사업자 선정이 이뤄질 경우 3,000억원 가량을 투자하겠다는 전제 조건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셀트리온의 2008년 예상 매출액이 1,400억원인점을 감안하면 파격적인 투자 규모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당시 컨소시엄 고위 관계자는 "삼성전자는 바이오시밀러에 대한 개발은 물론 생산공정을 전담하면서 컨소시엄간의 시너지를 내는데 주력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이후 삼성그룹은 2010년 5월 바이오사업은 태양전지, 자동차전지, LED(발광다이오드), 바이오·제약, 의료기기 등을 `5대 신수종 사업`으로 선정해 투자와 인수합병을 단행합니다.
그리하여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글로벌 바이오기업인 바이오젠을 끌여 들여 삼성바이오에피스를 만들었고, 삼성전자는 국내 초음파진단사업의 선두주자였던 메디슨을 사들여 삼성메디슨으로 출범하게 됩니다.
2012년 2월 삼성바이오로직스와 미국 `바이오젠 아이덱`(Biogen Idec)(현 바이오젠)이 합작해 `삼성바이오에피스` 출범합니다.
당시 SK그룹은 메디슨 인수전에서 삼성그룹에 고배를 마신 후, 바이오사업을 분할해 현재 SK바이오팜을 만들게 됩니다.
삼성그룹이 바이오사업에 뛰어들면서 제약, 바이오기업들은 물론 한화그룹 등도 바이오의약품시장에 대한 투자를 크게 하기 시작했습니다.
이후 한미약품이 프랑스계 다국적 제약사인 사노피와 퀀텀 프로젝트 등을 통해 대규모 기술수출에 나서고 셀트리온이 바이오시밀러인 `램시마` 상용화에 성공하면서 국내 바이오분야에 대한 관심을 높인 공로는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진행형이 된 적자 사업구조
보통 일반기업의 경우 손익분깃점(BEP)를 넘기는 데는 3년 정도가 소요됩니다.
반면, 바이오기업은 신약개발이라는 특수성을 감안한다면, 약 7년~10년 정도가 소요되는 게 현실입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연간 기준으로 2017년 첫 영업이익 흑자를 낸 점을 고려한다면, 흑자를 내는데 도달한 시간은 8년입니다.(당기순이익은 삼성에피스를 종속회사에서 관계회사로 분류, 회계 처리를 하면서 2015년 흑자를 냈습니다.)
물론 영업흑자를 내기까지 공장 증설에 대한 투자도 병행됐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제1공장(3만 리터)과 제2공장(15만 리터), 제3공장(18만 리터)를 포함해 연간 생산량 36만 리터를 갖춘 세계 최대 바이오의약품 생산기업으로 올라섰습니다.
하지만, 사업구조는 여전히 완연한 흑자구조를 보이는데 불안한 요소들이 있습니다.
현재 3공장은 상업생산을 위한 시운전을 진행하며 올 하반기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갈 예정입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난해 매출액 5,358억원과 영업익 557억, 순이익 2,241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영업이익률을 기준으로 따져 본다면 약 10% 수준입니다.
생산량에 있어서는 스위스 론자와 독일 베링거인겔하임, 셀트리온보다 큰 생산시설을 갖추고 있지만, 공장가동률은 아직 낮은 단계입니다.
김태한 삼성바이오로직스 사장은 1월에 열린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서 "현재 총 생산규모의 25까지 확보한 3공장의 수주물량을 연말까지 50%이상으로 끌어올릴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금융투자업계에서는 3공장의 가동률을 35% 전후로 보고 있습니다.(물론 기업분석 발간 리포트에서는 절대 안쓰고 있죠.)
<여기서 궁금한 것 한 가지? 과연 삼성바이오로직스가 1,2,3공장 가동률이 100%가 될 경우 매출액은 어느 정도가 될까요?>
▲ 증권가 전망은 100% 가동시 2조원 내외
스위스 론자의 생산량은 28만 리터입니다.
지난해 매출액은 약 7조원 가량(기타 사업부 포함)입니다.
생산량으로 스위스 론자와 단순 비교를 근거로 계산하면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그보다 많은 36만 리터이니 9조원에서 10조원이 될 듯 합니다.
물론 제품 믹스와 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생산 사업(CDMO) 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만, 바이오의약품위탁생산(CMO)를 감안할 경우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최대 매출액은 2조원 전후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증권사들은 올해 삼성바이오로직스의 공장별 연 평균 가동률이 1공장 40~50%, 2공장 70% 전후, 3공장 30~40% 수준을 보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자회사인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아직까지 적자 경영을 면치 못하고 있습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지난해 매출액 3,697억원과 영업손실 1,027억원을 기록했다고 지난 13일 밝혔습니다.
당분간 미국과 유럽에서 판매 증가에도 불구하고 영업손실을 탈피하기까지는 시간이 다소 걸릴 듯 합니다.<더 이상 얘기하지 않고 정리정돈!>
▲ 논란의 중심에서 최악의 사태를 맞았다
지난 정부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송도 3공장 준공과 거래소 상장에 성공했습니다.
사실상 꽃길을 걸은 셈이죠.
문재인 정부가 들어선 후 여러가지 일들이 일시에 터졌습니다.
회계처리 논란부터 삼성물산 합병에 따른 삼성바이오에피스 평가 문제, 거래소 상장 문제, 증권선물위원회 제제 등등.
한 회사가 한 가지도 아니고 여러가지 일들에 얽히면서 구설수에 오르기는 참 쉽지 않은데요.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억울하다는 입장입니다만, 여론이나 정치권, 국민들 입장에서는 곱지 않은 시각과 비판이 있는 것 또한 사실입니다.
앞으로 검찰 수사와 금융감독위원회와의 법정 다툼 등 좀 지켜보도록 하겠습니다.
10살짜리 어린이 치고는 덩치가 공룡만큼 커진 탓일까요?
《알투바이오는 포스트모더니즘을 추구하는 기자의 `알고 투자하자 바이오`의 줄임말입니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