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춘의 지금 세계는] 미중 무역마찰에 따른 관세발작…10대 가계부채국 ‘한국’ 직격탄 맞나?

입력 2018-04-10 13:19  

    미국과 중국 간의 관세전쟁이 제2 라운드를 맞고 있는데요. 이럼에 따라 가뜩이나 우려되는 미국의 물가가 더 올라 연준이 금리를 더 올리지 않겠느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Fed의 의장인 제롬 파월도 이 문제를 공식적으로 언급했는데요. 이른바 tariff tantrum, 즉 관세발작이라 불리는 이 문제는 외환위기를 겪고 가계부채가 많은 우리 경제에도 많은 영향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 문제를 알아보는 시간을 마련했는데요. 도움 말씀을 주기 위해 한국경제신문사의 한 상 춘 논설위원이 이 자리에 나와 계십니다.

    한 위원님 안녕하십니까? 미국과 중국 간 무역마찰이 제2 라운드에 접어들고 있는데요. 먼저 그 상황부터 말씀해 주시지요.

    -2월 미국 적자 576억$, 08년 10월 이후 최대

    -올해 두달 간 1143억$, 대중국 적자 650억$

    -1R 미국 500억$ 관세 부과, 중국도 맞대응

    -2R 1000억$ 관세 부과, 중국도 맞대응 태세

    -G2 간 관세전쟁 따른 ‘tariff tantrum’ 우려

    경제공부하고 가지요? 방금 tariff tantrum이란 용어를 말씀하셨는데요. 어떤 의미인지 말씀해 주시지요.

    -테이퍼 텐트럼(TT)은 원래는 의학 용어

    -시합 앞두고 운동량 줄일 때 불안감

    -버냉키 전의장 출구전략 언급 이후 유행

    -13년, JP 모건의 구F5 중심 금융시장 대혼란

    -tariff tantrum, 관세->수입물가 상승->금융긴축

    제룸 파월 연준 의장도 이 문제를 공식 언급하지 않았습니까? 그만큼 미국의 인플레 문제가 점차 부담이 되는 수준에 근접했다는 의미이지 않습니까?

    -2월 CPI 상승률 2.1%, 핵심CPI 상승률 1.8%

    -조만간 발표될 3월 CPI 2.2%, 핵심CPI 1.9%

    -1Q 성장률 3% 근접, 총수요 인플레 요인

    -총공급 면에서 원자재와 임금상승률 변수

    제롬 파월 의장은 인플레 문제에 대해 비교적 전향적인 자세를 언급해 왔지 않습니까? 관세발작이 우려된다면 금리인상폭이 더 커지지 않겠습니까?

    -파월, 작년 12월 인사청문회부터 강경 입장

    -물가, 인플레 목표치 2%에 도달할 것 예상

    -인플레 목표치 상향 논쟁, 목표선 고수 입장

    -파월 언급 이후 금리인상 4회 가능성 고개

    -금융시장 불안, 물가에 민감한 국채금리 급등

    서로 자존심 싸움까지 번지는 미국과 중국 간 무역마찰이 쉽게 끝날 것 같지는 않아 보이는데요. 그렇다면 세계 금융시장에는 큰 부담이 되지 않겠습니까?

    -미중 무역마찰, 인플레와 디플레 요인 공존

    -무역마찰->세계교역 축소->세계경제 침체

    -세계경제 재침체, 자산시장 거품 붕괴 빌미

    -출구전략 미추진, 경기 재부양 수단 바닥나

    -미중 무역마찰, 최악으로 치닫지 못하는 요인

    미국 연준이 관세발작에 따라 금리를 더 빨리 올라간다면 우리 경제 내부에서 알고 있는 대규모 외국자금 이탈과 제2 외환위기 논쟁이 가열되지 않겠습니까?

    -올 3월부터 10년 6개월 만 한미 금리역전

    -정책금리, 미국 1.5-1.75% vs 한국 1.5%

    -관세발작, 한미 정책금리 차 더 벌어질 듯

    -대규모 외국자금 이탈, 제2 외환위기 논쟁

    -제2 외환위기 위기설, 전형적인 ‘인포데믹’

    제2 외환위기 가능성이 없다면 한미 간 금리역전시 원·달러 환율은 어떻게 될 것으로 보십니까?

    -올해 1월 4일 방송했던 원·달러 전망 참조

    -원·달러, 3년 동안 1150원 중심 상하 50원

    -적정환율수준 하향, 1150원에서 1100원으로

    -빠르면 2분기 이후 국제적인 달러 가치 수렴

    -작년 4Q부터 제시됐던 1000원 붕괴확률 희박

    관세발작에 따라 제2의 외환위기 발생 가능성이 적다하더라도 금리가 올라갈 경우 가뜩이나 위험수준을 넘어선 가계부채 부담은 높아지지 않겠습니까?

    -WSJ, 한국을 가계부채 10대 위험국 분류

    -가계부채 증가율 10%, 노르웨이 이어 2위

    -가계부채 규모도 신흥국 중에서 가장 높아

    -테이퍼링->자산가격 하락->역자산 효과

    -과다부채 속 관세발작, ‘악순환 고리’ 촉진

    -IMF, 부채억제 목적 금리인상 가능한 자제

    지금까지 한국경제신문사의 한 상 춘 논설위원이었습니다.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